반응형
2024년에 새로이 도입되거나 달라지는 청년을 위한 지원 정책을 아시나요?
나에게 맞는 지원이 있다면 놓치지 마세요.
국민취업지원제도 청년 연령확대 및
소득활동 시 구직촉진수당 지급기준 변경
국민취업지원제도란?
- 취업을 원하는 사람에게 취업지원서비스를 일괄적으로 제공하고 저소득 구직자에게는 최소한의 소득도 지원하는 한국형 실업부조입니다. 2024년부터 15~69세 저소득층, 청년 등 취업취약계층에게 맞춤형 취업지원서비스와 소득지원을 함께 제공합니다.
2024년 달라지는 점
구분 | 기존 | 2024년 1월 |
청년연령범위 확대 | 18~34세 | 15~34 + 병역의무기간(최대 3년) |
소득활동 인정범위 확대 | 월 57.7천원(23년)이상 소득발생 시 구직 촉진수당 부지급 |
월 133.7만원(24년) 내에서 발생한 소득만큼 차감 후 구직촉진수당 지급 (월단위 지급앱 50~90만원 한도) |
국민내일 배움 카드 발급 기준 완하
국민내일 배움 카드란?
- 취업준비생, 이직 희망자, 회사원, 새로운 인생을 준비하는 중·장년 및 새로운 경력을 쌓기 위한 여성들까지 취업, 이직, 역량개발이 카드 한 장으로 가능합니다.
- 2024년에는 발급 제한 기준을 완화하여 보다 폭넓은 직업훈련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2024년 달라지는 점
구분 | 기존 | 2024년 1월 |
자영업자 | 연매출(수입금액) 1.5억 원 미만인 자에 대해서만 지원 | 연매출(수입금액) 4억 원 미만인 자에 대해서도 지원 |
특수고용형태종사자 | 최근 3개월간 월평균 소득이 300만 원 미만인 자 | 특수고용형태종사자의 경우, 최근 3개월간 월평균 소득이 500만 원 미만인 자에 대해서도 지원 |
구직자 대상 일학습병행제 도입
일학습병행이란?
- 일학습병행은 기업이 청년을 먼저 채용하여,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현장훈련(OJT)과 전문대, 4년제 대학교 등 ‘공동훈련센터’에서 이론교육(OFF-JT)을 제공하여, 산업현장 어디서든 인정받을 수 있는 인재가 되도록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 더불어, 기업에서의 훈련 과정평가와 인력공단의 외부평가를 거쳐 일학습병행 국가 기술자격 취득까지 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교육훈련제도입니다.
2024년 달라지는 점 : 청년 구직자 대상 일학습병행 신설
구분 | 기존 | 2024년 1월 |
지원 내용 | (신설) | 미취업 청년 등 청년 구직자를 위한 구직자 대상 일학습병행제 신설 |

일학습병행은 2014년 처음 사업을 시작한 이래로, 재학생(직업계고, 전문대ㆍ4년제 대학교)과 기업에 신규로 채용된 재직자를 대상으로 운영하여, 졸업생 중 아직 취업을 하지 못한 청년 구직자(미취업자)의 참여가 어려웠습니다.
- 올해(2월 시행예정)부터는 ‘구직자 대상 일학습병행’을 신설하여 아직 취업하지 못하고 구직 중인 청년 구직자도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폭이 더욱 넓어졌습니다.
- ‘구직자 대상 일학습병행’은 기존의 재학생과 재직자를 대상으로 운영해왔던 방식과 달리 ‘사전이론교육’ 과정을 신설하여, 적성을 먼저 탐색하고 앞으로의 진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빈일자리 청년취업지원금)
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이란?
- 일자리 미스매치 해결 및 빈일자리 업종(조선업, 뿌리산업, 제조업, 농업, 해운업, 수산업 등) 중소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고 취업 청년의 임금 격차와 생계부담 완화를 위해 빈일자리 업종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청년에게 금액 지원을 하는 제도입니다.
2024년 달라지는 점
구분
|
기존
|
2024년 1월
|
지원 대상
|
(신설)
|
’23.10.1.~’24.9.30. 정규직으로 취업하여 고용보험 가입한 청년 (만15세 ~34세)
|
대상 기업
|
빈일자리 중소기업, 피보험자 수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
|
|
지원 요건
|
제조업 등 빈일자리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취업하여 3개월 이상 근무
|
|
지원 내용
|
취업 후 3개월차 100만 원, 6개월차 100만 원 지원(최대 200만 원)
|

지원 대상은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인 자로, 채용일 현재 다른 사업장에 취업 중이 아니어야 합니다.
청년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 지원
청년 국가기술자격 시험 응시료 지원이란?
- 청년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국가기술자격 취득을 통한 취업 및 업무능력 향상 등을 위해 국가기술자격 시험 응시료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024년 달라지는 점
구분
|
기존
|
2024년 1월
|
지원 내용
|
(신설)
|
34세 이하 청년이 국가기술자격 시험에 응시하는 경우 응시료 50%를 지원
|

청년 국가기술자격 시험 응시료 지원은 2024년 신규사업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 시행 종목을 대상으로 1인당 연 간 3회 한도로 지원합니다.
전체 혜택으로 정부 혜택 조회하기
정부 24 사이트에 접속하신 후, 상단 메뉴에서 보조금 24에서전체 혜택 메뉴를 선택합니다.
검색 창에 원하는 서비스명을 입력하신 후 검색 버튼을 클릭하시면 검색된 서비스가 노출됩니다.
나를 위한 맞춤 안내로 정부 혜택 조회하기
보조금 24에서는 개인 맞춤 혜택 정보를 제공합니다.
본인을 비롯하여 함께 사는 가족뿐 아니라 멀리 떨어져 있는 가족의 혜택 정보도 한 번에 조회할 수 있으니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사용 방법은 아래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반응형
'정부,지원금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월50만원씩 최대6개월 ! 청년수당 정보! 신청방법! (1) | 2024.03.10 |
---|---|
청년 주택드림! 정보! 신청방법! 청약통장! (0) | 2024.02.21 |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정보! 신청방법! (2) | 2024.02.07 |
휴가비50%지원! 근로자 휴가지원사업! 정보! 신청방법! (0) | 2024.02.04 |
2024 근로장려금 정보! 신청방법! (0) | 2024.01.24 |